반응형 전체 카테고리147 [Ansible-playbook 예제] MariaDB 설치 및 user, schema 생성하기 개요 MariaDB 을 구축하고, MariaDB 서비스를 구동하고, 쿼리를 실행하는 playbook을 작성해보겠습니다. ansible-playbook의 기본 구조는 여기에 정리해놓았습니다. 아래와 같은 구조로 playbooks를 구성하겠습니다. - sunny-mariadb-playbooks - hosts - install-mariadb.yml - roles - mariadb - meta - tasks - templates - my.cnf - files - maria_init - tasks - group_vars 1. hosts 파일 작성 vim ./sunny-mysql-playbooks/hosts [mariadb-client] sunny1.test.com sunny2.test.com sunny3.test.. 2021. 1. 8. [mysql] 마스킹처리하는 함수 만들고 실행하기 문자열, 마스킹처리 시작위치, 마스킹처리 끝위치, 마스킹 문자를 입력하면 문자열을 마스킹처리 해주는 함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MASK("잇서니티스토리블로그", 3, 7, "*" ) 함수를 수행하면 잇서니****블로그로 출력될 것입니다. 1. 함수 생성 DELIMITER // DROP FUNCTION IF EXISTS mwav.MASK// /** * Returns a new string that is masked by given character. * The masked portion begins at the specified P_BEGIN_INDEX and extends to the character at index P_END_INDEX - 1. * Thus, the lenght of the masked.. 2021. 1. 8. DataNode failed volumes 원인 및 해결법 hadoop 2.7.4 테스트 클러스터 운영 중에 2대의 데이터노드가 shutdown 됐던 적이 있었습니다. 디스크 고장으로 인해 데이터노드 volume에 문제가 생긴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원인 파악 1. 데이터노드 로그(/var/log/hadoop-hdfs/hadoop-hdfs-datanode-mnode4.dev.com.log)를 확인해보니 데이터노드의 volume(/data1/hdfs/data)에 문제가 생겼다네요. (참고) 데이터노드는 volume(로컬디스크)에 block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2018-05-29 10:53:44,775 ERROR org.apache.hadoop.hdfs.server.datanode.DataNode:mnode4.dev.com:50010 :DataXceiver erro.. 2021. 1. 7. 웹서버(apache) / WAS(wildfly) / DB(MariaDB) 설치 및 연동하기 개요 웹사이트에 필요한 web서버, was, DB서버 설치 및 연동 과정을 정리한다. 실습은 Virtual box를 사용하여 진행한다. vm1 : web + was vm2 : DB 리눅스 프로그램 설치방법 1) 소스 설치 소스파일을 다운받아 직접 컴파일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 설치 시, 프로그램 환경설정이 가능 (./configure) 의존성문제가 거의 없음 컴파일러로 컴파일하여 설치하므로 시간이 오래걸림 (make, make install) 환경설정을 잘못할 경우, 프로그램 설치가 안될 수도 있음 2) 바이너리 설치 소스버전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의 디렉토리를 압축해놓은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 압축만 해제하면 설치 가능 3) 패키지 설치 rpm을 이용해서 프로그램 설치 및 삭제 등을 관리 프로그램 의존.. 2021. 1. 6. [리눅스-CentOS] 로컬 Repository 만들기 개요 local repository를 구축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repository 개념을 확실하게 다진다. 실습은 virtual box를 사용한다. (노드 2개) 목차 repository란? local repository란? local repository 구축하기 패키지 옮기기 httpd createrepo repo 파일 작성 배포 (hosts 파일, repo 파일) 테스트 노드에서 local repository 사용해보기 repository란? 말 그대로 저장소이다. 패키지를 설치할 때,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yum install 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repository를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http://yum.mariadb.org/10.1/centos/6.5/x86_64/.. 2021. 1. 6. [HDFS] 네임노드 구동과정 (Namenode Startup Process) 네임노드가 시작되는 과정을 정리하면서 네임노드의 동작들을 더 제대로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 1. fsimage를 디스크에서 읽어 메모리에 로딩한다. fsimage는 dfs.namenode.name.dir 경로에 저장되어 있다. 이 파일을 읽어 메모리에 로딩한다. 2. edits log 중에 반영되지 않은 것을 찾아 반영한다. 아직 체크포인팅 안 된 edits log를 journal노드에서 읽어온다. 체크포인팅이 안 된 edits log에는 파일이름에 inprogress가 붙는다. edits log를 fsimage에 반영한다. (체크포인팅) 3. 네임노드의 포트(8020, 50070)가 열린다. 그럼 데이터노드와 네임노드가 통신하며 데이터노드가 등록된다. 데이터노드가 네임노드에게 블록리포트를 보내준다. .. 2021. 1. 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