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7

웹서버(apache) / WAS(wildfly) / DB(MariaDB) 설치 및 연동하기 개요 웹사이트에 필요한 web서버, was, DB서버 설치 및 연동 과정을 정리한다. 실습은 Virtual box를 사용하여 진행한다. vm1 : web + was vm2 : DB 리눅스 프로그램 설치방법 1) 소스 설치 소스파일을 다운받아 직접 컴파일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 설치 시, 프로그램 환경설정이 가능 (./configure) 의존성문제가 거의 없음 컴파일러로 컴파일하여 설치하므로 시간이 오래걸림 (make, make install) 환경설정을 잘못할 경우, 프로그램 설치가 안될 수도 있음 2) 바이너리 설치 소스버전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의 디렉토리를 압축해놓은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 압축만 해제하면 설치 가능 3) 패키지 설치 rpm을 이용해서 프로그램 설치 및 삭제 등을 관리 프로그램 의존.. 2021. 1. 6.
[리눅스-CentOS] 로컬 Repository 만들기 개요 local repository를 구축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repository 개념을 확실하게 다진다. 실습은 virtual box를 사용한다. (노드 2개) 목차 repository란? local repository란? local repository 구축하기 패키지 옮기기 httpd createrepo repo 파일 작성 배포 (hosts 파일, repo 파일) 테스트 노드에서 local repository 사용해보기 repository란? 말 그대로 저장소이다. 패키지를 설치할 때,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yum install 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repository를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http://yum.mariadb.org/10.1/centos/6.5/x86_64/.. 2021. 1. 6.
[HDFS] 네임노드 구동과정 (Namenode Startup Process) 네임노드가 시작되는 과정을 정리하면서 네임노드의 동작들을 더 제대로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 1. fsimage를 디스크에서 읽어 메모리에 로딩한다. fsimage는 dfs.namenode.name.dir 경로에 저장되어 있다. 이 파일을 읽어 메모리에 로딩한다. 2. edits log 중에 반영되지 않은 것을 찾아 반영한다. 아직 체크포인팅 안 된 edits log를 journal노드에서 읽어온다. 체크포인팅이 안 된 edits log에는 파일이름에 inprogress가 붙는다. edits log를 fsimage에 반영한다. (체크포인팅) 3. 네임노드의 포트(8020, 50070)가 열린다. 그럼 데이터노드와 네임노드가 통신하며 데이터노드가 등록된다. 데이터노드가 네임노드에게 블록리포트를 보내준다. .. 2021. 1. 5.
[HDFS] Block Pool 개념 정리 HDFS에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Block Pool을 알아보겠습니다. Block Pool은 네임스페이스에 할당된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Block Pool에 블록 관리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블록 위치 정보 등)를 저장한다. Block Pool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Block Pool ID는 BP-- 형식으로 만들어진다. 네임노드 웹 UI(http://:50070)에서 Block Pool ID를 확인할 수 있다. HDFS Federation이 구성된 경우가 아니라면, 네임스페이스가 여러개 구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Block Pool도 1개일 것이다. 데이터노드는 모든 Block Pool에 있는 블록들을 volume(로컬디스크)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노드의 /data1/hdfs/.. 2021. 1. 4.
PCS로 HA 클러스터 구성하기 (WAS-wildfly) 개요 상황 포탈사이트에 업로드되는 파일들을 저장할 스토리지가 필요함 사용 가능한 스토리지가 1개만 있는 상황임 WAS 2대가 스토리지를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해야함 해결방안 PCS로 WAS 2대를 클러스터링 하여 공유스토리지 환경을 구축한다! 목차 포탈 Architecture 설명 LVM (Logical Volume Manager) 클러스터링 사전작업 클러스터 구성 테스트 참고자료 1. 포탈 Architecture 설명 구성요소 웹서버 2ea / WAS 2ea / DB서버 2ea / WAS용 공유스토리지 1ea / DB용 공유스토리지 1ea 웹서버 apache 2.4 vip를 통해 로드밸런싱 됨 WAS와 연동하는 모듈(mod_jk) 사용 => WAS01(active), WAS02(standby)로 설정함 .. 2021. 1. 4.
percona xtraDB cluster 설치하기 개요 2019년 프로젝트를 했을 때 DB가 percona xtraDB cluster 형상이었다. multi-master 구조이다. percona DB를 처음 접해봐서 구축테스트를 해보며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1. percona DB 구축 (1) 설치 yum install http://52.33.4.66/percona/centos/6/os/x86_64/percona-xtrabackup-2.3.5-1.el6.x86_64.rpm yum install https://repo.percona.com/centos/6Server/RPMS/x86_64/Percona-XtraDB-Cluster-server-56-5.6.37-26.21.3.el6.x86_64.rpm yum install Percona-XtraDB-Clu.. 2021. 1. 3.
PXE & kickstart로 CentOS 설치 자동화하기 개요 클러스터에 OS를 설치할 때, 여러 개 노드에 일일이 OS를 수동설치하는 것은 번거롭다. PXE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노드에 OS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실습은 virtual box로 서버 2개(pxe용 서버, target1 서버)를 만들어 진행합니다. 목차 PXE 개념 virtual box 환경세팅 iso 이미지 mount httpd tftp-server dhcpd pxelinux 설정 target 노드 OS 자동설치 PXE 개념 PXE(Preboot eXecution Environment)는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부팅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환경이다. 하드디스크나 CD-ROM과 같은 저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OS를 설치할 수 있다. 서버-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 pxe노드가 서버가 되고.. 2021. 1. 3.
Hive 트랜잭션 테이블 (Hive update, delete) 개요 Hive에서 update 또는 delete 쿼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랜잭션 설정이 필요하다. Hive 트랜잭션 테이블의 개념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ACID 란? DB 트랜잭션의 주요한 특징이다. Atomicity an operation either succeeds completely or fails, it does not leave partial data 작업은 성공하거나 실패하거나 둘 중 하나이다. Consistency once an application performs an operation the results of that operation are visible to it in every subsequent operation 하나의 작업이 전체 시스템에 반영된다. Isolation .. 2021. 1. 3.
Spring 공지사항 게시판 만들기 - (1) 공지사항 등록하기 혼자 이해한 내용이니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을시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ntroller 역할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하면 Controller가 해당 요청을 받습니다. 요청 작업을 수행한 이후, 데이터를 View에 전달합니다. Controller 구현 Spring 실행 흐름대로 코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Controller 코드 (src/main/java/net/admins/controller/BoardNoticeAdminsController.java) @Controller public class BoardNoticeAdminsController { @Resource(name = "boardNoticeAdminsService") private Boar.. 2020. 12. 30.
반응형